2024년 NFT 시장 "브랜드 작은 NFT가 주도" > NFT정보/뉴스 KDCA(한국데이터공인인증원)

본문 바로가기

NFT정보/뉴스

NFT정보/뉴스 HOME

2024년 NFT 시장 "브랜드 작은 NFT가 주도"

언론사(미디어) 뉴스드림 글쓴이 설동훈 기자 보도일 2023-12-30
4,181회 작성일 23-12-29 20:31

본문

51913_22852_5329.jpg

(사진=프리픽) 

 

지난해 6월 암호화폐 시장의 폭락과 함께 장기간 침체 속에 빠져들었던 NFT가 2023년 말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증가하며 관심이 다시 되살아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당장 NFT 브랜드들이 주요 오프라인 및 온라인 소매업체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 출시되는가 하면 보다 많은 기성 기업들이 NFT 공간에 들어오는 것에서 이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회복 조짐 NFT 시장…제품 거래 추이도 이전과 상이

 

이처럼 NFT 시장의 거래량 증가 상태가 지속되면서 2024년에 NFT 시장이 회복될 것이란 전망과 함께 NFT가 회복세로 진입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시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해외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Coindesk)는 최근 NFT 기반 브랜드 구축은 2024년 웹 3.0 채택의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라는 예측과 함께 NFT 시장이 회복 가능한 방안을 제시했다.

이미 예측하고 있는 것처럼 성공적인 NFT 제품의 향후 흐름은 우리가 이전에 목격했던 것과는 상당히 다를 가능성이 높다. 예컨대 소수의 고액 자산에 집중하는 대신 이러한 제품 중 다수는 대량으로 생산되고 보다 광범위한 소비자 시장을 목표로 한층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될 것이다.

NFT 기업들은 투기보다는 직접적인 가치 창출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되며 다수의 고객들은 이러한 디지털 자산이 암호화에서 실행되고 있다는 사실조차 깨닫지 못한 채 이 같은 디지털 자산을 구입하고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미 나이키(Nike), 레딧(Reddit), 스타벅스(Starbucks), 심지어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미국 대통령과 같은 대중 시장 NFT들이 디지털 수집품으로 사용하는 실험을 목격한 바 있다.

또한 퍼기 펭귄(Pudgy Penguins), 쿨 캣츠(Cool Cats), 키타로 스튜디오(Kitaro Studios)와 같은 NFT 네이티브 브랜드들은 ‘피지털(phygital)’ 활성화를 통해 실제 제품이 직접 연결되거나 판매 시점에 전달된 클레임 코드를 통해 관련 NFT와 함께 제공되고 있다. 동시에 티켓마스터(Ticketmaster)와 같은 주요 업체와 토큰푸르푸(tokenproof)와 옐로우하트 (YellowHeart)와 같은 신규 업체들도 모두 테스트를 NFT를 통해 이벤트 티켓, 멤버십 및 기타 팬 참여 형태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품은 NFT에 익숙하지 않은 소비자에게 새로운 기술과 함께 제공되는 디지털 소유권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소비자 제품 가격으로 판매되며 티켓 가격 또한 일반적인 가격이 책정된다. 물리적인 가격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가격과 비슷하다.

51913_22854_5445.jpg

(사진=프리픽) 

 

◆작고 광범위한 접근 가능 NFT…향후 시장 성장 동력 제공


NFT에 초기 진입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복잡한 자체 보관 지갑을 탐색해야 했지만 이러한 NFT는 종종 부분적 또는 완전 관리 지갑 시스템을 통해 기본 블록체인 기술을 흡수하는 플랫폼 설계로 포장된다.


그러나 이것이 소비자들이 토큰으로부터 효용성을 받고 소셜 미디어 및 기타 플랫폼에서 디지털 ID로 전환하는 것을 막지는 못한다. 또한 원하는 경우 더 넓은 NFT 생태계에 참여하는 것을 막지도 않는다.


한편,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은 기술적으로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모두 잠재적인 시장을 획기적으로 확장하고 브랜드가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내년 1월 출간 예정인 서적 ‘The Everything Token’에서 설명한 것처럼 NFT는 회사 또는 제작자에게 고객을 커뮤니티로 전환함으로써 분산된 가치 창출의 힘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동시에 소유권은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구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장려한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 오디세이 회원들은 스타벅스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도 프로그램 전용 제3자 웹사이트 전체를 구축하고 비공식 모임과 행사를 조직했다. 이것은 또한 디지털 영역으로 확장되어 구성원들이 공공 스타벅스 서버에서 친구들과 자신의 그룹 채팅을 회전시켰기 때문에 이러한 NFT가 없는 서로 잘 모르는 커뮤니티 구성원들 간에도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 모두에서 매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주요 대기업과 마찬가지로 소규모 기업과 1인 크리에이터에게도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커뮤니티가 광범위하고 성장할 수 있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스타벅스나 나이키와 같은 브랜드가 NFT 제품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궁극적으로 해당 제품을 전체 글로벌 고객층의 기반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반대로 고객이 브랜드의 디지털 생태계의 일부가 되기를 원할 때마다 그렇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더 작고 보다 광범위하게 접근할 수 있는 NFT 제품이 단순한 실험이 아니라 미래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올해 초 ‘오픈 에디션’ 크리에이터 NFT의 성공은 이러한 전략이 크리에이터들에게 얼마나 효과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으며 지난 1년 동안 기업들도 이 같은 상황을 파악해 왔다는 것이 분명해진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업계와 전문가들은 2024년에는 브랜드가 작은 NFT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소비자를 NFT 공간으로 유입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