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시장, 블록체인 타고 비상”…연 28% 성장세 > NFT정보/뉴스 KDCA(한국데이터공인인증원)

본문 바로가기

NFT정보/뉴스

NFT정보/뉴스 HOME

“탄소배출권 시장, 블록체인 타고 비상”…연 28% 성장세

언론사(미디어) 부산일보 글쓴이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보도일 2025-06-30
541회 작성일 25-06-30 11:17

본문

2025062707503790373_l.jpg

지난 23일(현지 시간) 파리협정 10주년을 기념해 파리시청 외벽에 대형 그림이 걸렸다. 2015년 12월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195개국이 채택한 이 국제 조약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역사적 전환점으로, 2016년 11월 공식 발효됐다. (사진=EPA연합뉴스 제공)


지난 23일(현지 시간) 파리협정 10주년을 기념해 파리시청 외벽에 대형 그림이 걸렸다. 2015년 12월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195개국이 채택한 이 국제 조약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역사적 전환점으로, 2016년 11월 공식 발효됐다. EPA연합뉴스


지구상의 급격한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한 탄소중립 흐름 속에 블록체인 기술이 탄소배출권 시장의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는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발간한 2025년 6월 셋째 주 ‘블록체인 기술·정책·산업 동향’ 보고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 블록체인으로 연 28% 성장 중’에 따르면, 전 세계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은 연평균 28.3%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30년에는 거래량 3억t, 시장 규모 약 2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기존 탄소배출권 시장이 지닌 이중 집계, 위·변조 위험 등 신뢰성 한계를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이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거래 이력의 불변성과 실시간 검증이 가능해지면서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 체계가 보다 정확해졌고, 규제기관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이다. IBM과 투칸 프로토콜 등 주요 기업들은 이 같은 기술력을 앞세워 시장 내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보고서는 글로벌 크레디트 간 연계가 가능한 ‘상호운용성’ 확보가 시장 확장의 열쇠가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은 다양한 국가와 기관의 탄소배출권을 통합하고 유동성을 높이며, 국제적 매매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스마트 계약 기능은 크레디트 발급부터 폐기까지의 절차를 자동화해 행정 비용을 절감하고, 사기를 방지하는 효과도 낳고 있다.


특히 탄소배출권의 디지털 토큰화는 소액 단위 거래와 실시간 정산을 가능하게 해 개인 투자자들의 시장 접근성을 대폭 높였다.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플랫폼과 연계한 프로젝트들도 속속 등장하며, 시장 참여 주체의 다변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보고서는 이러한 기술적 진화가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시장의 성장 가속화를 견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는 북미와 유럽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싱가포르는 아시아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 역시 자체 허가형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제도에 적합한 형태의 실험을 진행 중이다. 다만 아직 표준 프로토콜의 부재, 환경적 비용 논란, 기존 제도와의 통합 과제는 남아 있는 상태다.


전문가들은 2025년을 블록체인 기반 탄소시장 기술이 시험 단계를 벗어나 주류 시스템으로 도약하는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기술 고도화와 규제 명확화가 맞물릴 경우, 블록체인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신뢰도와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