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현재와 미래를 만나다…'업비트 D 컨퍼런스 2024' 개막
본문

▲ UDC 2024 연사 및 프로그램 안내. (사진=두나무)
국내 대표 블록체인 행사 '업비트 D 컨퍼런스(Upbit D Conference, UDC)'가 14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개막했다.
UDC 2024는 40여명의 글로벌 블록체인 전문가들과 함께 최신 기술 동향과 산업의 미래를 논의하는 자리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된다.
UDC는 두나무가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과 생태계 성장, 대중화를 위해 2018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국내 대표 블록체인 컨퍼런스로 올해 7회째를 맞는다.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가운데 개최되는 UDC 2024는 '블록체인: 현실을 변화시키는 힘(Blockchain: Powering Real World Change)'을 주제로 진행된다. 블록체인이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되고 현실을 변화시키는 흐름을 ▲트렌드 ▲금융 ▲정책 ▲기술 ▲문화 등의 주제로 살펴본다.
이날 행사는 송치형 두나무 회장의 오프닝 스테이지로 시작한다. 송 회장은 "블록체인은 더 이상 보이지 않는 기술이 아니다"며 "실물연계자산(RWA)의 활성화, 글로벌 시장에서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대체불가토큰(NFT) 티켓 등 블록체인이 창출한 현실의 변화가 더 가깝게 다가오고 있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송 회장은 이어 "여전히 블록체인에 대한 의문과 다양한 도전이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실물 금융에 직접 적용되어가고 법과 정책적으로도 제도화되고 있으며 기술뿐 아니라 통신업, 유통업,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이 활용되고 있다"고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성을 역설했다.
UDC 2024의 첫 번째 키노트 무대는 전 코인데스크 컨세서스 의장인 마이클 케이시와 이석우 두나무 대표의 대담으로 진행된다. 이들은 이번 대담을 통해 웹3의 확산, AI 기술과의 융합, 전통 금융의 혁신 등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특성과 미래 방향성을 논의하며 비전을 공유한다.
이번 UDC 2024에는 블록체인과 디지털자산 산업의 핵심 변화를 주도하는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여한다.
대표적으로 금융·비즈니스 세션에는 카이코(Kaiko)의 키스 여 아태지역 총괄 책임, 리플(Ripple)의 로스 에드워즈 디지털 금융기관 분야 상무, 서클(Circle)의 얌키 찬 부사장, 팍소스(Paxos)의 윌터 헤서트 최고 전략책임자 등이 스테이블 코인을 주제로 심층 토론을 진행한다.
콘텐츠·문화 세션에서는 LVMH의 사샤 로월드 경영 고문이 명품 브랜드들이 블록체인을 활용한 이력 관리에 주목하는 이유에 대해 공유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비트코인 현물 ETF 시대가 열린 이후 관심이 크게 늘어난 은행권 동향, 세계 각국 정책 관계자들이 들려주는 규제 방향, 블록체인 보안전문가들이 전하는 웹3 시대 맞춤형 보안 등 최근 주요 화두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가 이뤄진다.
한편, 이날은 블록체인 축제인 만큼 다채로운 이벤트가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행사장에는 NFT 전시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럭키드로우 등이 참여자들을 위해 마련되며, 온라인에서는 인증 이벤트 참여 시 푸짐한 상품을 받을 기회도 제공한다.
UDC 2024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오전 키노트 등 주요 세션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다.
[별첨] UDC 2024 주요 세션 소개
◆ 금융/비즈니스 세션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스테이블 코인을 주제로 카이코(Kaiko)의 키스 여 아태지역 총괄 책임, 리플(Ripple)의 로스 에드워즈 디지털 금융 기관 분야 상무이사, 서클(Circle)의 얌키 찬 부사장, 팍소스(Paxos)의 윌터 헤서트 최고 전략책임자가 참여한다.
전통 금융의 대표 주자인 은행에서도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은 뜨겁다. 법무법인 광장의 이정명 변호사, 클리어뱅크(Clear Bank)의 조니 프라이 디지털 자산 그룹 책임, DBS 은행의 에비 튀니스 디지털 자산 부문 책임, 도이치 은행의 분형 찬 아태지역 보안 & 기술 변호 및 응용 혁신 사업 총괄 책임, 하나금융지주의 정재욱 상무가 참여해 블록체인이 금융권에 가져올 변화에 관해 설명한다.
◆ 산업/기술 세션
블록체인의 핵심 개념인 탈중앙화의 개념이 퍼져가는 방식에 대하여 탈중앙화 과학(DeSci) 분야의 뮤리엘 메다드 MIT 소프트웨어 공학 교수, 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DePIN) 분야의 아이오텍스(IoTeX) 로렌 차이 대표,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DeSoc) 분야의 사이버(Cyber) 윌슨 웨이 대표가 참여해 해당 개념을 소개한다.
두나무 장현익 팀장이 타이코(Taiko)의 테런스 람 공동 창립자 겸 최고운영책임자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증가하는 수요에 따라 필요해진 솔루션인 롤업의 개념과 실제 사례 및 비전에 대해 공유한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웹 3.0의 대중화와 커뮤니티 인프라의 중요성에 대하여 그래비티(Gravity)의 해리 장 공동 창립자가, 가장 오래된 블록체인인 비트코인에 대하여 제타체인(ZetaChain)의 안크루 난드와니 핵심 기여자가 의견을 나눈다. 아울러 사용자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영지식 증명에 관해 고려대학교 김승주 교수가 설명한다.
◆ 콘텐츠/문화 세션
현실에서 실질적인 서비스로서 적용되고 있는 NFT 산업과 관련하여 칠리즈(Chiliz)의 알렉산드레 드레이푸스 CEO, ME(Magic Eden)재단 매트 제닉스 디렉터, 펏지 펭귄(Pudgy Penguins) 셰릴 로 아시아 대표, NFT를 디지털 아트화 하고 있는 디스트릭트 코리아(d'strict)의 최은석 부사장의 현실적이고 허심탄회한 이야기도 쏟아진다.
◆ 정책/학술 세션
블록체인이 점점 더 다양한 분야에 채택됨에 따라, 글로벌 규제와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정책/학술 세션에서는 전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출신 제이슨 소멘사토, 전 유럽 의회 출신 디미트리스 사라키스, 전 싱가포르 통화청(MAS) 출신 안젤라 앙, 전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 출신 클라라 추가 국가 별로 블록체인 규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국제적 합의를 이루고 있는지에 대해 공유하고 전 금융감독원 부국장이자 현재 두나무 투자자보호센터를 이끌고 있는 이해붕 센터장도 함께 참여해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해 논의한다.
◆ 두나무 세션
온체인 자금 추적 솔루션 'OTS'를 통해 두나무가 가상자산 범죄의 대응하는 방법과 일반적인 데이터 ETL(추출, 변환, 로드) 기법과는 구분되는 블록체인 ETL, 업비트 NFT의 사례들과 서비스 방향성에 대해서 이야기할 예정이다.
◆ 웹3 보안 토크 세션
웹3 생태계의 특징과 미래 전망에 대해서 두나무 정재용 정보보호실 정보보호최고책임자가, 웹3 보안 인재의 필요성에 대해서 박세준 티오리/체인라이트 대표가 공유한다.
